★ 죽기 전에 들어야 할 칸초네(Canzone) - 연대순 (1)
• 산타 루치아(Santa Lucia, 18세기 중반 나폴리에서 채보한 민요)
※ 산타(성녀) 루치아는 나폴리의 수호성인
• 남몰래 흐르는 눈물(Una furtiva lagrima(=A furtive tear),
by 이태리 테너 Luciano Pavarotti(1988), 1732년 도니체티(G. Donizetti) 작곡)
※ 루치아노 파바로티(Luciano Pavarotti, 1935-2007)는 스페인의 플라시도 도밍고
(Placido Domingo, 1941 ~ ), 호세 카레라스(Jose Carreras, 1946 ~ )와 함께 세계 3대 테너.
/ 파바로티는 하이 C(고음 처리)의 제왕이라 불리며 천상의 목소리로 지녀
역사상 최고의 테러라는 평가. 세계에서나 국내에서도 가장 인지도가 높은 편.
그는 여성 편력이 대단해 본처와 이혼하는 등 바람둥이였는데, 72세에 췌장암으로 사망
• 베르디의 리골레토 중에서 여자의 마음(La donna e mobile(=The woman is mobile), 1851년)
※ 리골레토 3막에 등장하는 아리아인 이 곡은 진정한 사랑에는 관심이 없는 난봉꾼 공작이
17세 순정파 여성을 울린 것에 분개한 아버지가 복수하기 위해 자객을 보내지만,
정작 그 공작은 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기 딸만 죽는다.
이때 공작이 바람에 날리는 갈대와 같이 변하기 쉬운 여자의 마음을 의기양양하게 부르는 노래
• 마리아 마리(Maria, Mari, by Mario Lanza, 1876년 곡)
※ 마리오 란자(Mario Lanza, 1921-1959)는 이태리계 미국 이민자 출신으로,
카루소의 전기 영화 위대한 카루소(1951년)의 주인공
• 후나쿨리 후니쿨라(Funiculi, Funicula, 나폴리 민요, 1880년 작곡)
※ 이태리 나폴리의 베수비오 화산에 1880년 세계 최초로 케이블카를 설치했는데,
사람들이 무서워서 타지를 않자 시 당국에서는 타는 걸 독려하기 위해 이 곡을 만들어 홍보
• 오 쏠레 미오(O sole mio(=Oh, my sun), by Enrico Caruso, 1916, 나폴리 민요, 1898 작곡)
※ 카루소(1873-1921)는 나폴리 출생 당대 최고의 성악가
(테너의 제왕, 제2대는 파바로티)이자 뮤지컬 배우.
/ 보통 세계적인 성악가는 그의 이전과 이후로 나뉘는데, 이는 처음 축음기 음반을 통해서만
그의 노래를 들을 수 있기 때문(그 이전은 실력이 말로만 전해질 뿐 들어보기는 불가능).
그는 인류사에서 성악을 만개시킨 인물
• 돌아오라 쏘렌토로(Torna a Sorrento(=Go back to Sorrento), 나폴리 민요, 1902년 작곡)
※ 소렌토로(쏘렌토가 맞는 발음)는 이태리 남부 나폴리 항구와 마주하고 있는 작은 항구 도시로,
깎아지른 절벽 위의 건물들과 아름다운 해변은 지금도 인기 있는 관광지
(로마시대부터 휴양지로 유명)
• 무정한 사람(Core 'ngrato(Catari, Catari), by Luciano Pavarotti(1985),
1908년 미국 이태리 이민자 Salvatore Cardillo 작곡,
Core 'ngrato는 영어로 ingrate(은혜를 모르는) heart란 뜻)
※ 이 곡은 열렬히 사랑하지만 무정한 사람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연인의 슬픔을 노래
/ 이 외에도 그의 대표곡은 도니체니의 사랑의 묘약, 베르디의 리콜레토, 가면무도회,
푸치니의 라보엠, 푸치니의 투란도트 중 Nessun dorma(공주는 잠 못 이루고) 등
• 리베라이(Libelei, by Milva, 1961, Libelei는 1933년 독일 영화,
189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초연된 연극)
※ 우리나라에선 문주란이 리베라이란 곡으로 노래
• 물망초(Non ti scordar di me(=Don't forger me), by Luciano Pavarotti(1980), 1935년 곡)
※ 사랑을 구하기 위해 도나우 강 중간의 작은 섬으로 헤엄을 쳐 천신만고 끝에 꽃을 따내
그 꽃을 애인에게 던져주고는 나를 잊지 마세요라고 마지막 말을 남기고
물에 휩쓸려 사라졌다는 순애보적인 사랑
/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물망초란 곡으로 노래
• Chitarra Romana(=Roman guitar), by Luciano Pavarotti(1984), 1935년 곡)
• Vieni vieni(=Come come), by 미국 Rudy Vallee, 1937)
※ Rudy Vallee(1901-1986)는 가수(1920년대 중후반 최고의 인기 가수),
배우, 밴드 리더, 라이오 호스트
• Bella ciao(안녕 내 사랑(=Nice hello),
1906년경 곡으로 원래 나치에 저항한 파르티잔(빨치산)의 애창곡)
※ 이 곡은 인터내셔널가(2세기에 걸쳐 사회주의, 아나키즘, 환경 운동 등
진보세력이 애창하는 노래)와 함께 좌파 세력의 시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노래로
(우리나라에선 ‘애국투사의 꽃’으로 번안), 폭압적인 정권이나 권력자에 대항해서
자유를 갈구하는 곡.
그 가사는 애인에게 작별을 고하고 죽음을 각오하여 전장으로 떠나는
파르티잔(빨치산) 용사의 각오를 다짐한다는 줄거리
• 아마다 미아(Amada mia(=my dear), by Nilla Pizzi, 1948)
※ Nilla Pizzi는 1950년대 이태리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 중 한 명
이 곡은 원래 1946년 미국 영화(Gilda)의 OST로 주연 리타 헤이워드가 립싱크
(실제 부른 가수는 Anita K. Ellis)
/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아마다 미아란 곡으로 노래
• La raspa(by Nilla Pizzi, 1950)
• Anema e core(=Heart and soul), 마음과 영혼,
by 이태리 테너 Tito Schipa(1950), 1951년 Perry Commo의 With all my heart and soul 노래)
• Vola colomba(날아든 작은 비둘기(=Fly dove), by Nilla Pizzi, 1952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)
• 루나 로사(Luna Rossa(=Red moon), 붉은 달, by Claudio Villa, 1954)
※ Claudio Villa는 이태리 가수(1950년대 중후반 이후 가장 인기 가수)이자 영화 배우
/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루나 롯사란 곡으로 노래
• Tutte le mamme(=All mamas), 모든 어머니, by Giorgio Consoline & Gino Latilla, 1954)
• Gelsomina(La Strada(길), 1954년 이태리 영화 길(안소니 퀸 주연) OST, by 이태리 Nino Rota)
※ Nino Rota는 작곡자, 피아니스트, 밴드 지휘자로,
그는 1974년 아카데미 작품상과 작품상 등을 휩쓴 대부(Godfather)의 주제곡 연주한 것으로 유명
• Buongiorno tristezza(=Good morning sadness), 슬픔이여 안녕,
by Claudio Villa & Tullio Pane, 1955)
• Arrivederci Roma(=Goodbye, Rome), 1955년 이태리 경음악,
Bing Crosby(1956)/Dean Martin(1962) 노래)
• 낚시터의 즐거움(Don ciccio 'o piscatore, by Marino Marini, 1956)
※ Marino Marini는 1950년대 국제적 명성을 가진 이태리 뮤지션,
그는 6개월간 미국 방문 동안 Dizzy Gillespie 등 중요한 재즈 음악가들로부터 영향
/ 우리나라에선 강병철과 삼태기가 낚시터의 즐거움이란 곡으로 노래
• Come prima(=Like before), by 이태리 Tony Dallara, 1957)
※ Tony Dallara는 이태리 가수이자 배우
• La piu bella del mond(by 이태리 Marino Marini, 1957)
• 볼라레(Volare(=To fly), Nel blu dipinto di blu(=In the blue painted blue),
by Domenico Modugno 작곡 및 노래, 1958)
※ 도메니코 모두뇨(1928-1994)는 가수, 작사.작곡가, 기타리스트, 배우, 영화감독, 연출가,
사회운동가, 정치가(국회의원) 등 팔방미인.
그는 칸초네에 록 음악 요소를 도입한 음악 개혁의 선구자로 칭송받는 뮤지션
• 챠오 챠오 밤비나(Ciao Ciao Bombina(=Bye bye Bambina), by Domenico Modugno, 1958)
※ 우리나라에선 정시스터즈가 챠오 챠오 밤비나란 곡으로 노래
• Nel blu, dipinto di blu(=In the blue painted blue), 파랗게 물든 하늘에서,
by Domenico Modugno & Johnny Dorelli, 1958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)
• 나의 사랑(Amore mio(=My love)(Sinno me moro), by Alida Chelli, 1959년 영화 OST)
※ Alida Chelli는 가수 겸 영화배우, TV 호스테스
/ 우리나라에선 최양숙이 죽도록 사랑해서란 곡으로 노래
• 피노키오에게 보내는 편지(Lettera a Pinocchio(=Letter to Pinocchio), by Johnny Dorelli, 1959)
※ Johnny Dorelli는 가수 겸 배우. 그는 1958년 Domenico Mougno와 함께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
Nel blu, dipinto di blu를 불러 인기 상승
/ 우리나라에선 유주용이 피노키오에게 보내는 편지란 곡으로 노래
• Tout l'amor(=All the love), Passion Flower, by Caterina Valent(프랑스 출생 이태리), 1959)
※ 우리나라에선 정미조가 정열의 꽃이란 곡으로 노래
• Sur nel cielo(=Up in the sky), 하늘 위에, What a sky(1960년 영화 태양의 유혹(I Delfini) OST,
by Nico Fidenco)
※ Nico Fidenco는 1960년대 인기 정상에 있던 가수
• Trust me(1960년 영화 정사(L'advventura(=The Adventure), 알랭 드롱 주연) OST, by Nico Fidenco)
• Romantica(=Romatic), by 이태리 Tony Dallara, 1960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)
• Il gabbiano(=The seagull), by 이태리 Daisy Lumini, 1960)
※ 귀여운 외모의 Daisy Lumini는 가수, 작곡가, 피아니스트, TV 탤런트
(5개 국어에 능통하여 여러 국가에 TV 출연)
• 가방을 든 여인(La ragazza con la valigia(=Girl with a suitcase), 1961년 영화 주제가)
• 나의 손을 잡고(Stringiti alla mia mano(=Cling to my hand), by 이태리 Miranda Martino, 1961)
※ Miranda Martinos는 여가수 겸 배우
• Pepito(by Cocky Mazzetti, 1961)
• Al di la(=Beyond), by 이태리 Betty Curtis(1961년 산레모 가요제 우승곡),
1962년 이태리-미국 Connie Francis 이태리어 노래)
※ Betty Curtis의 1959년 노래 Nessuno(=Nobody), Guantanamera(1967)도 유명
• Tango delle Rose(=Tango of rose), by Gigliola Cinquetti(1973), 1961년 곡)
• Il mare nel casseto(=The sea in the draw), by Milva, 1961)
• Quando quando quando(=When when when), by Tony Renis, 1962)
※ Tony Renis는 싱어송라이터, 작곡가, 뮤직 프로듀서, 배우.
그는 이 곡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
• Tango delle rose(by Gingliola Cinquetti(1973), 1967년 Connie Francis 노래,
1961년 이태리-미국 Joe Domiano 곡)
※ 미국 여가수 Connie Francis는 이태리어로도 노래하고, 영어 제목 Love에 Italian style로도 노래
/ 우리나라에선 배호가 장미의 탱고란 번안곡으로 노래
• L'eclisse(=The eclipse), by Mina & C. Tempia and his Orch., 1961)
※ 우리나라에선 현미의 태양은 외로워란 곡으로 노래
• Go-Kart Twist(선라이트 트위스트, by Gianni Morandi, 1962)
※ Gianni Morandi는 이태리 팝 싱어, 배우이자 엔터테이너
• 부베의 연인(La ragazza di Bube(= The Bube girl), by Carlo Rustichelli, 1963)
※ 1964년 이태리 영화 부베의 연인(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주연,
14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애인 부베를 기다리는 한 여성이 애절한 사랑 이야기) OST
/ 우리나라에선 이금희(또는 배호)가 부베의 연인이란 곡으로 노래
• Sapore di sale(=Flavor of salt), by Gino Paoli, 1963)
• 노노레타(Non ho l'eta(=I'm not old enough), by Gigliola Cinquetti, 1964)
※ 질리오라 칭케티(1947 ~ )는 1964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얼린 유로비젼 콘테스트에서
16세의 어린 나이로 이태리인으로선 첫 우승하면서 유명세
/ 우리나라에선 조애희가 나이도 어린데란 곡으로 노래
• 첫사랑의 눈물(Il primo bacio che daro(=The first kiss I give), by Gigliola Cinquetti, 1964)
※ 우리나라에선 김추자가 첫사랑의 눈물이란 곡으로 노래
• 라노비아(La Novia, by Tony Dallara, 1964, 1962년 칠레 곡)
※ 이 곡은 영국 Julie Rogers가 1964년 불러 알려진 이래,
같은 해 이태리 버전으로 Tony Dallara가 노래.
그 가사는 사랑하는 사람이 결혼식을 올리는 것을 슬프게 지켜보는 실연이 그 줄거리
/ 우리나라에서 유주용이 라노비아란 곡으로 노래
• 얼굴 위 한 방울의 눈물(Una lacrima sul viso(=A tear on the face),
by 이태리 Bobby Solo, 1964)
'오페라 아리아, 월드 뮤직 가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mapola(아마포라)/ Trio Los Panchos & Gigliola Cinquetti (0) | 2020.05.14 |
---|---|
Catarí (core 'ngrato! 무정한 마음) (0) | 2020.05.14 |
베르디 오페라 〈일 트로바토레(Il Trovatore)〉 (0) | 2020.05.12 |
(vja) Enrico Caruso - Mattinata (0) | 2019.04.12 |
E lucevan le stelle (0) | 2019.04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