一始無始一 : 하나의 시작은 무에서 시작한 하나이니
析三極 無盡本: 쪼개져서 삼극(三極)으로 나누어져도 그 근본은 다함이 없느니라 天一一 : 하늘은하나에서 하나이고 天一二 : 땅은 하나에서 둘이고 天一三 : 사람은 하나에서 셋이 나온 것이니 一積十鉅 : 하나가 모아져서 십(十)으로 커 졌을 지라도 無匱化三 : 모자람이 없이(한량이없이) 셋(三)으로 변화 되었느니라 天二三 : 하늘은 둘(陰.陽)에서 셋이 만 들어지고 地二三 : 땅도 둘(陰.陽)에서 둘 이 만들어지고 人二三 : 사람은 둘(陰.陽)셋(三)으로 나온 것이니 大三合六 : 크게 三合을 이루면 육(六)이 나오고 生七八구 : 또 육(육) 애서는 七八九 가 나오고 運三四成環五七 : 삼사로 운욜을 하고 오칠로 고리를 이루느니라 一妙련萬往萬來 : 하늘은 묘련해서 만번이나 가고 만번이나 오더라도 用變不動本 :쓰임은 변(變) 하되 그 근본은 움직이지 않느니라 本心本太陽 昻明 : 본래 마음은 태양에 근본을 하니 아주 밝고 人中天地一 : 사람은 天地에 중심을 두어 하나가 되니 一終無終一 : 하나에 마침은 마침이 없는 하나이니라.
- 1. 부호(符號), 기호(記號)
- 2. 증거(證據), 증표(證票)
- 3. 부적(符籍)
- 4. 예언서(豫言書), 미래기(未來記)
- 5. 도장(圖章)
- 6. 부절(符節: 돌이나 대나무·옥 따위로 만들어 신표로 삼던 물건)
- 7. 조짐(兆朕), 징조(徵兆)
- 8. 법(法), 법도(法度), 규율(規律)
- 9. 씨방
- 10. 껍질
- 11. 귀목초(대나무의 일종)
- 12. 공문(公文)
- 13. 나타난, 드러난
- 14. 들어맞다, 부합하다(符合--: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)
- 15. 명령하다(命令--)
- 16. 확실히(確實-), 틀림없이
같은 뜻을 가진 한자(유의자) 博 넓을 박 廣 넓을 광 恢 넓을 회 普 넓을 보 闊 넓을 활
< 관련 >
음력 3월 3일로 설날, 단오, 칠석, 중양절처럼 양수(陽數)가 겹치는 좋은 날(명절)이다. 봄을 알리는 이 삼짇날엔 9월 9일에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고, 뱀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나오기 시작하는 날이지요. 또 나비나 새도 나타나기 시작한다. 그래서 사람들은 들판에 나가 꽃놀이를 하고 새 풀을 밟으며 봄을 즐겼다.
'주역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팔관 (0) | 2019.07.16 |
---|---|
<天乙貴人>과 목욕살(沐浴煞) (0) | 2019.07.16 |
마의 상법 (0) | 2019.01.02 |
류장상법 (0) | 2019.01.02 |
28수 별자리 저수(宿) (0) | 2018.12.10 |